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글은 2024년 5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최신 정보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천장형 에어컨 CH-07 표시가 나타나고 운전이 안돼요
✅표시창에 필터청소가 떠요. 청소를 해도 사라지지 않아요
LG 시스템 에어컨 주요 에러코드
에러 번호 | 에러항목 | 에러 발생 사유 | 자가조치 방법 |
---|---|---|---|
5 | 통신에러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불량 (실내기 ↔ 실외기) | 에어컨 전용 차단기 내려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실외기 실에 중간 스위치가 있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 주세요.) 차단기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7 | 냉난방 동시운전 에러 | 실내기 간 운전모드가 상이할 경우 (예. 거실 냉방, 안방 난방 운전할 경우) | 각각의 실내기의 운전모드 (냉방 또는 난방)가 같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후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면 운전모드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시켜 주세요. (예. 거실 냉방, 안방 난방 운전할 경우 → 거실 냉방, 안방 냉방으로 일치시켜주세요.) |
21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IPM 불량 | 압축기 또는 인버터 PCB 고장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2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입력과 전류 | 실외기 과전류 발생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3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DC link 고/저전압 | 실외기 공급 전압 문제 (과전압 / 저전압) 또는 인버터 내부 회로 불량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4 | 실외기 고압 스위치 | 실외기 내부 압력스위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고압스위치 동작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5 | 실외기 입력 전압 고/저전압 | 실외기 공급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발생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6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시동실패 오류 | 실외기 압축기 고장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7 | PSC/PFC 과전류 에러 | 과부하운전 또는 PCB 내부 부품 소손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9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과전류 | 압축기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로, 봉입 냉매량이 많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실외기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0 | 정속 2번 압축기 토출온도 과다상승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2 | 인버터 토출온도 error (high)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3 | 정속 1번 압축기 토출온도 과다상승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4 | 고압 과다 상승 | 냉매가 많거나 냉방 시 실외기, 난방 시 실내기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냉방 시 실외기 주위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난방 시 실내기 공기 흡입부에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필터가 먼지/이물질 등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경우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5 | 저압 과다 하강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53 | 통신에러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연결 불량 (실외기 485 모뎀 ↔ 실외기) | 실내기 차단기 내려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올라가 있고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으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54 | RST 역상 감지 | 실외기 삼상 전원선의 방향이 반대로 연결된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61 | 실외배관온도 error (high) | 냉매가 많거나 냉방 시 실외기, 난방 시 실내기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냉방 시 실외기 주위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난방 시 실내기 공기 흡입부에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필터가 먼지/이물질 등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경우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67 | 실외 fan lock error | 실외 팬 구속에 의한 동작 불량 또는 팬 모터 불량 발생 | 실외기 Fan 구동부에 이물질이나 눈이 쌓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으로 이상이 없다면 서비스 접수가 필요합니다. |
에러코드 표에 없는 에러의 경우 경우 전문 서비스 매니저의 점검을 권장 드립니다.
고객센터(1544-7777)로 문의 또는 출장 서비스 예약 | LG전자 고객지원 (lge.co.kr)을 해주세요.
에어컨 LED 램프가 깜박거려요
➔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오류가 감지될 때 LED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점등 또는 점멸)
1.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다면, 차단기를 올려 주세요. (실외기실에 중간 스위치가 있는 경우같이 확인해 주세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는 [에어컨] 또는 [A/C]로 표기되어 있으며, On 상태인지 확인해 주세요.
OFF 상태일 경우, 에어컨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제품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 (영업장, 원룸, 오피스텔. 등 일부 사용 제품에는 실내기, 실외기 전원이 따로 공급될 수 있으며 확인이 필요합니다.)
2. 램프에 불이 깜박거리면 먼저 실내기 필터 와 실외기 환기를 확인해 주세요.
3.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도 있으니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주세요.
차단기를 올려도 동작이 안돼요
1. 에러코드를 확인해 주세요. (에러코드 확인 방법)
➔ 1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1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1개인 제품
표시되는 램프의 색상은 모델에 따라 초록색 또는 빨간색이 있으며 에러는 동일하게 표시합니다.
시스템 에어컨 스마트 진단하기
ThinQ로 더 편리하게 확인이 가능해요.
➔ 스마트 진단
스마트 진단 기능을 통해 제품 이상 확인 가능, LG 전자 홈페이지 ‘고객지원’ 페이지 제품 문제 해결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스마트 진단 결과에 따라 고객센터 연결도 바로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ThinQ 홈 화면 → 유용한 정보 진입 → 스마트 진단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