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나이 알아보는 방법

강아지 나이는 사람과 다르게 흐른다고 하지요. 그래서 나이를 정확히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강아지 나이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보고, 강아지 나이를 짐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최신 정보 바로가기

✅ 실손 의료비로 동물병원 진료비 보장받기

✅ 반려견 사료 열량 계산기 바로가기

강아지 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간편한 강아지 나이 계산기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발바닥을 좌우로 드래그하면 강아지 나이를 사람 나이와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

✅ 국립축산과학원 반려견 영양상식

✅ 반려견에게 주면 안되는 음식

강아지 나이 새로운 공식: 사람 나이 = 16ln(개 나이) + 31

미국 연구진이 개 나이를 사람 나이와 비교하는 새로운 공식을 발표한 내용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 공식은 개의 노화 속도가 처음에는 빠르다가 나이가 들면서 점점 느려진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 자연로그 함수를 사용한 이 공식은 개의 나이를 보다 정밀하게 사람의 나이로 변환합니다.
  • 여기서 ln은 자연로그를 의미하며, 자연로그는 수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로그 함수 중 하나입니다.

 

예시를 통한 나이 변환

  • 개 나이 1세: 사람 나이 = 16ln(1) + 31 = 16 * 0 + 31 = 31세
  • 개 나이 2세: 사람 나이 = 16ln(2) + 31 ≈ 16 * 0.693 + 31 ≈ 42세
  • 개 나이 3세: 사람 나이 = 16ln(3) + 31 ≈ 16 * 1.098 + 31 ≈ 48세
  • 개 나이 4세: 사람 나이 = 16ln(4) + 31 ≈ 16 * 1.386 + 31 ≈ 53세
  • 개 나이 5세: 사람 나이 = 16ln(5) + 31 ≈ 16 * 1.609 + 31 ≈ 56세
  • 개 나이 10세: 사람 나이 = 16ln(10) + 31 ≈ 16 * 2.303 + 31 ≈ 68세
  • 개 나이 12세: 사람 나이 = 16ln(12) + 31 ≈ 16 * 2.485 + 31 ≈ 71세
  • 개 나이 20세: 사람 나이 = 16ln(20) + 31 ≈ 16 * 2.996 + 31 ≈ 79세

그래프 해석

  • 이 그래프는 개의 초기 나이가 사람 나이로 환산했을 때 크게 증가하고, 이후 점차적으로 그 증가 속도가 둔화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개가 어릴 때 빠르게 성장하고 노화하는 반면, 나이가 들수록 그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반영합니다.

연구의 배경

  • 연구는 래브라도 리트리버 104마리와 사람 320명의 DNA 메틸화를 비교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DNA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높은 유전자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일 품종인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품종별 차이

  • 연구 결과는 특정 품종에 대한 것이므로 모든 개 품종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 소형견은 대형견보다 천천히 늙으며, 각 품종에 따라 노화 속도와 기대 수명이 다릅니다.

이 새로운 공식을 사용하여 개의 나이를 사람의 나이와 비교하면 보다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품종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하며, 개의 건강과 생활 환경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수명 연장의 요인

  1. 고품질 펫푸드 공급: 유기농 원료와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펫푸드의 증가로 반려동물의 영양 상태가 개선되었습니다.
  2. 의학 발전: 치주질환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제와 펫보험의 도입 등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생활 환경: 반려동물의 생활 환경이 개선되면서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좋아졌습니다.

 

강아지 나이에 따른 돌보는 법

반려견의 건강한 성장과 노후를 위해 챙겨야 할 생애주기별 영양 관리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견 (약 만 2세 미만)

  1. 고에너지 먹이 제공: 빠른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해야 합니다.
  2. 단백질과 미네랄 보충: 골격과 근육 발달을 위해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3. 식사 횟수 조절: 소화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량씩 여러 번 나누어 급여합니다.

성견 (약 만 2~6세)

  1. 에너지 요구량 조절: 체중 1kg당 에너지 요구 수준이 자견 시기보다 낮습니다.
  2. 영양소 공급 관리: 영양 과잉을 방지하여 비만을 예방합니다.
  3. 활동량과 간식 관리: 산책 등 활동량을 고려하여 먹이양을 조절합니다.
  4. 정기적 체중 측정: 체형과 체중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합니다.

노령견 (약 7세 이상)

  1. 에너지 감소: 성견 대비 20%까지 에너지 요구량이 감소합니다.
  2. 질 좋은 단백질 제공: 단백질 대사가 느려지므로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단백질을 공급합니다.
  3. 습식 먹이 위주 급여: 탄수화물 소화율을 낮춰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4. 영양제 보충: 미네랄, 비타민, 유산균제 등을 보충하여 생리 활성과 장 건강을 유지합니다.
  5. 맞춤형 먹이 선택: 치주 질환, 관절염 등 노화 관련 질병 예방을 위한 맞춤형 먹이를 선택합니다.

강아지의 성장 과정

1단계 신생아기 (출생 후 ~ 14일)

– 미각과 촉각만 보유(미각과 촉각을 이용하여 모유를 먹음)
– 체온조절이 매우 중요(동절기 출산직후 사망률 높음)
– 어미견이 대소변을 처리해줌(모견이 혀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처리하여 먹음)
– 생후 5일 이내에 사망률 높음(모견 출산 후 처리 및 포유미숙, 선천적 허약, 조산, 동사 등)

 

2단계 변화기 (15일~ 20일)

– 눈을 뜸(생후15일, 처음에는 시각이 약시, 열등으로 보온 시에 시각에 좋지 않음)
– 귀가 열림(생후20일, 소리에 반응을 보임)
– 대소변을 본인의 의지로 봄(자견 스스로 구석진 곳에서 대소변을 봄)

 

3단계 사회화기 (21일 ~ 45일)

사람들과 사회화에 중요한 시기임, 손길에 긍정적으로 반응토록 할 것.

– 21일-35일
네발로 기어 다님(생후21-25일). 사람과 친숙해지려고 하는 시기로 떨어져 놀기 시작 – 반경이 좁음,
어미 먹이에 탐을 내고 이유식 하는 시기(생후 21-25일경)
(팬 형태의 넓은 식기에 이유식을 먹임)
생후30일경부터 유치 중 앞니가 발달하기 시작함.

– 36일-45일
모견과 격리하기에 최적기
· 자견용 사료를 건 사료 형태로 모견과 분리하여 먹임
· 자견들 사이에 서열싸움 시작: 반려견별 식기에 먹이를 줌
· 양질의 자견용 사료를 선택하여 1일 3-4회 급여함

 

4단계 아동기(46일 ~ 80일)

· 호기심이 많고 물체에 대한 의구심이 생김 (행동반경이 넓음)
– 7 ~ 8주
· 두뇌와 감각기능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감정표시를 시작함
· 모견이 젖 주기를 거부함(유치 발달)

 

5단계 유년기 (10주 ~ 6개월)

· 3~4개월경에는 경계심이 심하여 반려인과 낯선 이를 구별하고 낯선 이에게 쉽게 정을 주지 않음.(진돗개, 삽살개 분양 시 고려사항)
– 습성이 반복과 경험으로 굳혀지는 단계이기에 칭찬과 교정을 분명히 해야 함
– 사람의 반응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 성품이 고정되어지는 시기
· 호기심이 왕성하고 성장이 완성되어지는 시기

 

6단계 청소년기(7개월~15개월)

· 지적 호기심이 많고 환경적응능력이 좋아 본격적인 행동교정에 최적기(생후7~8개월경)
– 사춘기로 성에 대한 관심이 많고 생식기능이 성립됨.(생후6~10개월경)
· 암캐 생후 9~10개월경 첫 발정

 

7단계 성견기(16개월~)

· 가장 혈기왕성한 시기는 생후 2년부터 6년 사이임.
· 견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형 견종의 경우는 중년의 연령은 7~8년으로 의욕과 운동력이 저하됨.

 

8단계 노년기(10년 이후~)

노령 견은 각종 질환에 노출되며 특히, 비만과 치아질환, 백내장, 관절이상, 치매 등이 흔함.
· 마스티프계열의 비만형 대형견종은 생후 8~9년부터 노령화되며 10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음.
· 소형견일수록 수명이 길고 15~16세가 되면 노령견이 되며 20년까지 장수하는 반려견도 있음.

노령견 영양 관리

노령견의 영양관리의 목표는 건강과 최적 체중을 유지하고, 만성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이미 갖고 있는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려견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직면하는 건강상의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비만
– 치아문제
– 피부 및 모발의 약화
– 근육량의 감소
– 빈번한 소화장애
– 관절염
– 감염에 대한 저항력 약화

노령견은 에너지 섭취량이 낮더라도 체지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원인은 노령견의 에너지 소비와 대사율의 감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중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입니다.

이 밖에도 노화는 장내 미생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소화기관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산균과 같은 생균제(probiotics)나 기능성 다당류(prebiotics)를 첨가하여 장내 미생물의 균형유지를 돕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노령견의 건강관리는 규칙적인 생활의 유지와 함께,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아지 나이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